Test/OS

[OS]스토리지에 대한 설명

kiostory 2018. 5. 13. 18:33

* SSD  관련 기술

- NAND Flash는 쓰기 횟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특정 Flash영역만 과다한 write가 발생하여 SSD Fail이 발생하지 않도록

  wear-leveling 기술이 대부분의 SSD에 적용되어 있다.


- HDD에 비해 용량대비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이었으나, 3D NAND 기술의 발정르로 저가격/고용량의 SSD가 출시되어

  HDD와의 가격 차이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.


- Flash 메모리는 overwirte가 되지 않는 특성상 시간이 갈수록 Write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.

  하지만 TRIM 기능이 나와서 SSD가 유휴 상태일 때 데이터를 미리 지우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그러한 단점을 극복함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* 스토리지는 크게 파일 스토리지, 오브젝트 스토리지, 블럭 스토리지로 분류할 수 있다.

- NAS와 같은 파일스토리지는 여러 서버가 파일을 동시에 비교적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,

  서버와는 주로 SMB나 NFS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웍으로 연결된다.


- iSCSI는 블럭스토리지를 위한 프로토콜이다.


- Ceph와 같은 오픈소스 스토리지는 오브젝트와 블럭 스토리지의 기능을 하나의 스토리지에서 동시에 제공해주기도 한다.


-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POSIX 파일시스템을 통한 I/O방식을 제공하지는 않으며,

  HTTP기반의 REST API방식이나 혹은 오브젝트 스토리지에서 제공해주는 전용의 library를 통해 접근한다.


- 블럭 스토리지는 내장디스크나 오장스토리지에서 모두 사용되는 방식이며, 블럭 단위로 I/O를 수행하기 때문에

  일반적으로 성능이 가장 좋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** 스토리지 및 데이터 백업 구성

> 업무 요건

가) 스토리지는 고성능의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 형태로 구축함

나) 스토리지의 물리적 장애에 대한 RTO, RPO가 모두 0이어야 함

다) 스토리지 SPoF 요소가 제거되어야 함

라) 데이터 백업/복구시간이 최소화되어야 함

마) 특정 시점의 데이터 백업본이 3본 이상이어야 하고, 각 백업본은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장치,

     서로 다른 성격의 디바이스에 위치해야 함

바) 데이터 백업 시 운영시스템에 영향이 없어야 함(구성도에 데이터백업 흐름을 화살표로 표현)

사) 데이터의 논리적 유실은 백업본을 통해 복구함

아) 원격지 DR은 고려하지 않음

> 업무 요건에 따른 구성

. SAN 기반 스토리지를 구성하고 스토리지 Box를 이중화함

. 이중화 스토리지에 로컬 DR(또는 In-house DR)을 구성하여 SPoF제거 및 RTO/RPO 요구를 충족함

. RTO=0 충족을 위해 스토리지 이중화는 데이터 복제 방식(SRDF,TrueCopy 등)이 아니라

  S/W방식(CFS HA 등) 또는 가상 스토리지 방식(또는 볼륨 미러링 방식-VPLEX, Hitachi Global Active Device,

  FalconStor NSS, HP PeerPersistence 등)을 통해 양쪽 스토리지에 데이터가 동시에 Write되는 방식으로 구성함

. 로컬 DR본에서 BCV(또는 스냅샷)를 수행하고, BCV를 백업 마운트 서버에 마운트한 후 VTL, PTL백업을

 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백업시 운영 서비스 영향을 제거함

. BCV, VTL, PTL 구성으로 백업본 3개를 서로 다은 장치/디바이스에 운영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고 백업 및

  복구 시간을 최소화 함

. 구성도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* iSCSI

TCP 네트워크 기반의 IP-SAN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토리지에서 제공하는 볼륨을 인식할 수 있고

이 경우 안정적인 랜 네트워크가 요구된다.

A서버는 B서버와 iSCSI 스토리지의 동일 볼륨/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별도의 볼륨/파일 공유 솔루션이 필요하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* NAS

서버는 NAS 스토리지에서 제공하는 특정 디렉토리를 TCP 네트웍크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,

이 경우 스토리지 네트워크로 LAN 네트워크가 요구된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* SAN

서버는 SAN 스토리지에서 제공하는 특정 디스크 볼륨을 디스크로 인식하고 마치 로컬 디스크처럼 포멧하여 사용할 수 있고,

이 경우 FC기반의 별도 스토리지 네트워크가 요구된다.

A서버는 B서버와 SAN 스토리지의 동일 볼륨과 파일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서, 별도의 볼륨/파일공유 솔루션이 필요하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