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리눅스 커널은 모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.
그렇기 때문에 HW 드라이버나 네트웍 기능이 모듈화 되어 있어서 운영중에도 리부팅없이 기능을 쉽게 로드/언로드할 수 있다.
* 리눅스 커널에 KVM hypervisor 기능은 자체 포함되어 있다.
hypervisor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던 아니던, 하나의 리눅스 커널 버전만 관리하면 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# netstat -na |grep TIME_WAIT |wc -l
8543
TIME_WAIT은 TCP/IP 연결을 종료할 때 FIN을 먼저 수행한 쪽에서 발생하는 최종단계이며, Client와 Server에서 무도 확인될 수 있는 세션 상태이다.
TIME_WAIT 세션은 정상적인 TCP/IP 종료시에 발생하는 단계이고, 개수가 몇 만개가 되더라도 그로 인하여 메모리는 수십 MB밖에 사용하지 않는다.
때문에 리눅스 OS에서는 파라미터로 조정을 할 수 없고 할 필요도 없다.
해당 시스템이 Server이고 특정 포트로 서비스를 하는 경우라면 TIME_WAIT이 아무리 많아도 포트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다.
해당 시스템이 Client이고 특정 연계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라면 ephemeral port를 다 써버릴 수 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# netstat -napu
현재 기동되어 있는 UDP 기반의 데몬들의 사용 포트와 각각의 프로세스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다. 필요하다면 ncat등의 툴을 통해 헬스체크도 할 수 있다.
. -n : Show numerical addresses instead of symbolic host, port, servicename
. -p : Show the PID and name of the program
. -a : Show both listening and non-listening sockets
. u : Show udp
[root@kiostory ~]# netstat -napu
Active Internet connections (servers and established)
Proto Recv-Q Send-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/Program name
udp 0 0 0.0.0.0:5353 0.0.0.0:* 731/avahi-daemon: r
udp 0 0 127.0.0.1:323 0.0.0.0:* 742/chronyd
udp 0 0 0.0.0.0:902 0.0.0.0:* 732/rpcbind
udp 0 0 192.168.122.1:53 0.0.0.0:* 1760/dnsmasq
udp 0 0 0.0.0.0:67 0.0.0.0:* 1760/dnsmasq
udp 0 0 0.0.0.0:68 0.0.0.0:* 1078/dhclient
udp 0 0 0.0.0.0:111 0.0.0.0:* 732/rpcbind
udp 0 0 0.0.0.0:58488 0.0.0.0:* 731/avahi-daemon: r
udp6 0 0 ::1:323 :::* 742/chronyd
udp6 0 0 :::902 :::* 732/rpcbind
udp6 0 0 :::111 :::* 732/rpcbind
[root@kiostory ~]#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netstat -rn 명령어를 통해 현재 서버의 라우팅 테이블 현황을 확인하고, 여러 NIC을 사용하는 경우
default gateway 설정이 올바른지 확인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디스크 관련 설명
- /etc/fstab을 통하여 기본 마운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,
nobarrier, noatime 등의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.
nobarrier의 경우 일부 성능적인 이점이 있으나 파일 손상으로 인한 복구 진행시 문제가 된다.
- SSD를 사용하는 경우 IO elevator는 일반적으로 NOOP를 권고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서버 모니터링을 하면서 다음과 같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을 때, 조치 방안으로 맞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(2개)
상태) netstat -an | more
tcp 0 0 0.0.0.0:22 0.0.0.0:* LISTEN
tcp 0 1 10.1.100.1:31008 10.2.100.101:8080 SYN_SENT
tcp 0 1 10.1.100.1:31124 10.2.100.101:8080 SYN_SENT
tcp 0 1 10.1.100.1:31234 10.2.100.101:8080 SYN_SENT
tcp 0 1 10.1.100.1:31111 10.2.100.101:8080 SYN_SENT
tcp 0 1 10.1.100.1:31045 10.2.100.101:8080 SYN_SENT
tcp 0 1 10.1.100.1:31802 10.2.100.101:8080 SYN_SENT
tcp 0 1 10.1.100.1:38892 10.2.100.101:8080 SYN_SENT
...
- Local서버에서 Foreign 서버 8080 포트로 접근시 문제가 있는 상황이며,
두 서버 사이에 방화벽이 있는지 확인하고 방화벽이 있다면 정책이 올바른지 검토한다.
- Foreign 서버에서 현재 추가 세션을 못받아줄 수 있기 때문에,
해당 서버의 OS 및 WAS 설정이 현재 들어오고 있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상황인지 상세
모니터링하고 값을 조정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리눅스에 대한 설명
- 우분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눅스 하나이며, 별도 비용을 고려할 경우 기술 지원도 가능하다.
- 레드햇엔터프라이즈리눅스는 리눅스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OS중 하나로, 사실상 많은 어플라이언스
장비들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.
- CentOS는 RHEL과 코드상의 호환성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OS로서 여러 영역의 운영 환경에 활용되고 있다.
cf. SLES(노벨의 수세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서버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Test > 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아키]Network Parameter 조정을 통한 간헐적인 응답시간 지연 해소 (0) | 2018.05.28 |
---|---|
[OS]DR site (Alternate Site) (0) | 2018.05.23 |
[OS]스토리지에 대한 설명 (0) | 2018.05.13 |
[OS]유닉스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 (0) | 2018.05.13 |
[OS]윈도우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 (0) | 2018.05.13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fromkeys
- EXA
- virt-sysprep
- sysprep
- artandculture
- oracle
- 변수화
- 대소문자
- storage
- 스토리지
- dp-1
- vmware.powercli
- dp-2
- 배열
- powercli
- 부동없이
- exadata
- dezoomify
- 3par
- 읽어오기
- cloud-init
- 중복제거
- vmware
- insert
- set()
- 차집합
- 정렬
- LIST
- powershell
- Joi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