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Test/Python(20220101~)

1차 2급 연습1

kiostory 2022. 6. 6. 18:31
A 학교에서는 단체 티셔츠를 주문하기 위해 학생별로 원하는 티셔츠 사이즈를 조사했습니다.
선택할 수 있는 티셔츠 사이즈는 작은 순서대로 "XS", "S", "M", "L", "XL", "XXL" 총 6 종류가
있습니다.
학생별로 원하는 티셔츠 사이즈를 조사한 결과가 들어있는 리스트 shirt_size 가 매개변수로
주어질 때, 사이즈별로 티셔츠가 몇 벌씩 필요한지 가장 작은 사이즈부터 순서대로 리스트에
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##### 매개변수 설명
학생별로 원하는 사이즈를 조사한 결과가 들어있는 리스트 shirt_size 가 solution 함수의
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
* shirt_size 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* shirt_size 에는 치수를 나타내는 문자열 "XS", "S", "M", "L", "XL", "XXL" 이 들어있습니다.
##### return 값 설명
티셔츠가 사이즈별로 몇 벌씩 필요한지 가장 작은 사이즈부터 순서대로 리스트에 담아 return
해주세요.
* return 하는 리스트에는 [ "XS" 개수, "S" 개수, "M" 개수, "L" 개수, "XL" 개수, "XXL" 개수] 순서로
들어있어야 합니다.
##### 예시
shirtSize                          return
["XS", "S", "L", "L", "XL", "S"]   [1, 2, 0, 2, 1, 0]
##### 예시 설명
* "XS"와 "XL"은 각각 한 명씩 신청했습니다.
* "S"와 "L"은 각각 두 명씩 신청했습니다.
* "M"과 "XXL"을 신청한 학생은 없습니다.
따라서 순서대로 [1, 2, 0, 2, 1, 0]을 리스트에 담아 return 하면 됩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You may use import as below.
#import math
def solution(shirt_size):
    #Write code here.
    answer = []
    size_count = -1
    for i in ("XS", "S", "M", "L", "XL", "XXL"):
        size_count += 1
        count = 0
        for j in range(0, len(shirt_size)):
            if i == shirt_size[j]:
                count += 1
        #answer[size_count] = count
        answer.append(count)
    return answer
#The following is code to output testcase.
shirt_size = ["XS", "S", "L", "L", "XL", "S"]
ret = solution(shirt_size);
#Press Run button to receive output.
print("Solution: return value of the function is ", ret, " .")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