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리눅스는 default로 local files의 user account 정보와 NSS 인증방식을 이용한다.
여러대의 시스템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IS 서버를 통해 인증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설치 및 구성이 필요하다.
* NIS server :
- ypserv
- rpc.yppasswdd
- portmap
* NIS client :
- ypbind
- portmap
/etc/sysconfig/network --> NISDOMAIN, hostname 정의
/etc/yp.conf --> NIS도메인으로 어떤 서버를 사용할지 정의
/etc/nsswitch.conf --> password, shadow, group, lookup등의 정보 소스는 NIS를 통하도록 정의
/etc/sysconfig/authconfig --> USENIS=yes
/etc/pam.d/system-auth-ac --> NIS 계정의 패스워드 변경요청이 NIS master server의 rpc.yppasswdd로 전달
'IA > System Adm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inimal DNS Server 구현 (0) | 2011.02.27 |
---|---|
원격 서버에 로깅하기(로그 중앙집중화) (0) | 2011.02.27 |
IPv6 사용중지 (0) | 2011.02.26 |
[kernel and network configuration] 정적 IP 셋팅하기 (0) | 2011.02.20 |
[Kernel and network configuration] ping 응답 허용하지 않기 (0) | 2011.02.20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ysprep
- 3par
- virt-sysprep
- powershell
- exadata
- LIST
- 스토리지
- vmware.powercli
- 배열
- insert
- artandculture
- fromkeys
- 정렬
- 중복제거
- set()
- 차집합
- dezoomify
- vmware
- cloud-init
- 읽어오기
- dp-2
- powercli
- EXA
- dp-1
- Join
- 대소문자
- oracle
- 부동없이
- 변수화
- storag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