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 설명 영어 대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my_string을 모두 소문자로 바꾸고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한 문자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 제한사항 0 ["o","l","l","h","e"] cf. sort()는 리스트형 메소드. 원본값을 직접 변경. 값을 반환하지 않음 문자열.join() : 문자열에 더함. 반복 반환 가능한 객체(iterable)에 사용 가능

문제 설명 머쓱이는 행운의 숫자 7을 가장 좋아합니다.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7이 총 몇 개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 제한사항 1 ≤ array의 길이 ≤ 100 0 ≤ array의 원소 ≤ 100,000 입출력 예 array : result [7, 77, 17] 4 [10, 29] 0 * 첫 번째 생각 def solution(array): answer = 0 for i in range(len(array)): if array[i]%10 == 7: answer += 1 if (array[i]%100 - array[i]%10)/10 == 7: answer += 1 if (array[i]%1000 - array[i]%100)/100 == 7: a..
문제 설명 문자열 my_str과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my_str을 길이 n씩 잘라서 저장한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1 ≤ my_str의 길이 ≤ 100 1 ≤ n ≤ my_str의 길이 my_str은 알파벳 소문자, 대문자,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입출력 예 my_str : n : result "abc1Addfggg4556b" 6 ["abc1Ad", "dfggg4", "556b"] "abcdef123" 3 ["abc", "def", "123"] * 첫 번째 생각 def solution(my_str, n): import math answer = [] for _ in range(math.ceil(len(my_str)/n)): answer.appen..
http://egloos.zum.com/itbaby/v/4243381 Python 문자열 관련 함수. 1. 시퀀스 자료형 : 문자열, 리스트, 튜플 1) 인덱싱(indexing) : [k]>>> s = 'abcdef' # 문자열>>> l = [100, 200, 300] # 리스트>>> s[0] # 참조'a'>>> s[1]'b'>>> s[-1]'f'>>> l[1]200>>> l[1] = 900 # 치환 2) 슬라이싱(Slicing egloos.zum.com
*첫번째 생각 def solution(num, total): answer = [] for i in range(1,502): sum = 0 for j in range(i,i+num): sum += j if sum == total: for s in range(i, i+num): answer.append(s) break return answer 1부터 시작해서 501까지, num 수만큼 연속된 숫자를 직접 더해 봄. num이 5라면 j는 1~5, 2~6, 3~7 ... 바꿔가면서 sum에 더하고, sum이 total과 같으면 그 범위의 수 하나 하나를 answer[]에 append 함. 될 것 같은데, 10개중 4개의 테스트 케이스에서 에러가 발생.... *딴 생각 def solution(num, total)..
다음에 올 숫자 문제 설명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 comm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마지막 원소 다음으로 올 숫자를 return 하도록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 입출력 예 common : result [1, 2, 3, 4] 5 [2, 4, 8] 16 앞 부분의 3개 숫자를 가지고 등차/등비 판단 배열[-1]은 맨 마지막 요소 def solution(common): answer = 0 if (common[1] - common[0]) == (common[2] - common[1]): answer = common[-1]+(common[1]-common[0]) elif (common[1] / common[0]) == (common[2] / common[1]): answer = common[-1]*(common[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변수화
- 중복제거
- fromkeys
- dp-1
- powershell
- 읽어오기
- LIST
- 배열
- insert
- artandculture
- storage
- EXA
- dp-2
- 차집합
- oracle
- sysprep
- virt-sysprep
- 3par
- 정렬
- vmware
- exadata
- 대소문자
- powercli
- 부동없이
- set()
- 스토리지
- cloud-init
- Join
- dezoomify
- vmware.powercli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